top of page

JUN 2025. Ørsted Accelerates Investment Focus on Korea & Taiwan


Danish offshore wind giant Ørsted announced it will focus investments on existing Asian markets—Korea and Taiwan—over entering new ones. This underscores confidence in Korea's offshore wind trajectory and suggests faster project development and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head.


덴마크 해상풍력기업 오스테드는 아시아 신규시장 진출보다 기존 투자국인 한국과 대만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국의 해상풍력 정책·시장 규모에 대한 신뢰를 반영하며, 향후 프로젝트 수주와 민관 협력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A view of the turbines at Orsted's offshore wind farm near Nysted, Denmark, September 4, 2023. REUTERS
A view of the turbines at Orsted's offshore wind farm near Nysted, Denmark, September 4, 2023. REUTERS

Strategic pivot in Asia: Emphasis on financially viable offshore wind assets


Executive Summary

  • Denmark-based Ørsted has decided to prioritize investment in Taiwan and South Korea over expanding into new Asian markets.

  • Currently operating 10 GW of offshore wind globally, the company sees future growth in Korea-based projects.

  • The pivot highlights a shift toward commercially viable and policy-stable markets like Korea and Taiwan.

Item

Details

Key issue: Why important

Amid an ~80% plunge in market valuation, Ørsted refocuses on financially sound Korea/Taiwan offshore projects, bolstering investor confidence and supporting Korea’s wind market credibility.

Who's affected

Korean IPPs, supply chain companies (cables, turbines, etc.), financial institutions, and policy regulators. Their role in facilitating timely permitting, reliable procurement, and risk-managed financing will directly influence project realization.

What to watch

Progress on certifications and permits for Ørsted’s Korean projects, investment timelines, and whether commercial frameworks used in Taiwan will be adopted in Korea. Government policy responses are also key.


Implications


Ørsted's strategic pivot to Korea and Taiwan signals renewed confidence in market maturity and policy stability. Could this shift represent a long-term opportunity for Korean offshore wind developers and suppliers? How might local players adjust their strategies to align with global developer standards? Stakeholders might want to assess how policy framework and market enviroment can meet the expectations of a player like Ørsted.




아시아 전략 재정립…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중심 역할 부각


주요 내용


  • 덴마크 Ørsted, 기존 확보 시장인 대만·한국으로 아시아 투자를 집중 확대 결정 

  • 전 세계 해상풍력 10 GW 운영 중, 한국 프로젝트 포함 향후 성장 기대 

  • 아시아 확장 대신 한국·대만 내 상업성 있는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 안정성 확보


항목

내용

Key issue: Why important

Ørsted는 시장 가치 대비 80% 하락 위기 속, 안정적 수익이 가능한 한국·대만 프로젝트에 집중하며 리스크 경감. 이를 통해 한국 해상풍력 산업에 국제 신뢰와 자본 유입 기대.

Who's affected

한국 내 해상풍력 개발자(IPPs), 기자재 참여 기업(케이블·터빈 등), 금융/신용 기관, 정부 정책당국.

What to watch

Ørsted가 추진 중인 한국 프로젝트의 인증·허가 진행 상황, 투자 일정, 대만과 동일한 상업성 틀 적용 여부. 정부의 지원 정책 반응도 중요.


시사점


Ørsted가 한국과 대만으로 전략을 전환한 것은 시장의 성숙도와 정책 안정성에 대한 신뢰 회복을 의미합니다. 한국 해상풍력 개발자와 공급망에게 장기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까요? 현재 정책 체계 & 시장 환경이 Ørsted와 같은 글로벌 개발사의 기대 수준에 부합하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References



Keywords

  • Ørsted, offshore wind Korea, Asia investment, project viability, IPP collaboration, supply chain opportunities, 오스테드, 한국 해상풍력, 아시아 투자, 대만, 투자 전략, IPP, 공급망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