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 2025. Public Hydropower and Expired FIT Assets: Key to Unlocking Korea's RE100 Progress
- Soyeon Park
- Jun 23
- 3 min read
As Korean companies struggle to meet RE100 targets, calls are growing for the government to unlock underused public renewable assets for corporate PPAs. This post explores the potential of public hydropower and expired FIT plants, along with the key policy issues that could reshape Korea’s RE100 landscape.
국내 기업들의 RE100 이행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정부가 보유한 미활용 재생에너지 자원을 PPA 시장에 적극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공공 수력과 FIT 만료 설비의 활용 가능성과 이를 둘러싼 정책적 쟁점을 정리합니다.

Leveraging Underused Public Renewable Assets via PPAs (RE100 Korea, renewable energy Korea, PPA policy Korea, public hydropower, FIT expiry, KHNP, K-Water, green premium, virtual PPA, energy supply strategy)
Executive Summary
Korea’s average RE usage among RE100 companies is only 16.75%, far behind global peers
Over 1.6GW of unused public renewable resources exist, including central dispatch hydropower
Policy shift needed: government-led PPA expansion and public-supply infrastructure
Category | Details |
Why it matters |
|
Who is affected |
|
Key watchpoints |
|
Strategic Implications
Will the Korean government enable immediate PPA access to 1.6GW of underused public hydro resources to close the RE100 supply gap?
Can expired FIT plants be rapidly converted into viable PPA options, offering low-cost RE to meet urgent corporate demand?
Will the shift toward PPAs be supported by policy upgrades that allow carbon reduction certification, enhancing RE100 compliance credibility?
How quickly will public-private PPA models scale to match growing RE100 demand and reduce dependence on the struggling RPS regime?
공공 미활용 자원 PPA 전환, 국내 RE100 확산의 키 (RE100, 재생에너지, 수력발전, PPA, 공공자원, FIT, 한국수력원자력, 녹색프리미엄, 동서발전, V-PPA)
주요 내용
국내 RE100 기업의 평균 재생에너지 사용률은 16.75%로 글로벌 수준 대비 크게 낮음
한수원·수자원공사 보유 수력 등 1.6GW 이상의 공공 미활용 재생에너지 자원 존재
정부 중심의 PPA 시장 확대와 공공 공급체계 구축 시급
항목 | 설명 |
왜 중요한가 | 국내 RE100 가입 183개사 중 실제 RE 사용 비율 평균 12%, 국내 기업 36곳 중 RE50 이상은 단 5개사 (13.9%)에 불과.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도 2023년 기준 8.4%에 그침. |
누가 영향을 받는가 | 기업 20개사는 아직 RE10도 달성하지 못함. 탄소무역장벽 심화 속 글로벌 경쟁력 약화 우려.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네이버, 우리은행 등은 일부 공공자원 기반 PPA 시도. |
주목할 포인트 | 중앙급전 수력 1.6GW 중 한수원 0.6GW·수자원공사 1.0GW 보유. FIT 종료 설비는 저가 계약 가능하며 단기적 RE 공급 효과 예상. |
시사점 및 전략 방향
정부는 1.6GW 규모의 미활용 수력 자원을 PPA로 전환할 것인가? 그리고 얼마나 빠르게 이행될 수 있을까?
FIT 만료 발전소를 단기 저가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기업 수요에 실질적 대응이 가능할까?
PPA에 탄소감축 인증 기능을 포함하는 제도 개선이 뒤따를까? 이는 녹색프리미엄 대비 기업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음.
공공-민간 PPA 모델이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을까? RPS 의존도를 줄이고 RE100 수요를 충족할 대안이 될지 주목됨.
References
공공주도 미활용 재생E, PPA 통해 기업 RE100 장벽 지원해야 - 전기신문
Keywords
RE100, 재생에너지, 수력발전, PPA, 공공자원, FIT 만료, 녹색프리미엄, 가상전력구매계약 | RE100, renewable energy, hydropower, PPA, public assets, expired FIT, green premium, virtual PPA


Comments